Environmental

기후 변화 대응

한미글로벌은 TCFD(Taskforce on Climate Related Financial Disclosure, 기후변화 재무정보 공개 협의체) 권고안에 따라 기후 변화 시나리오 분석을 수행하고, 정보공시 체계에 따라 기후변화 대응 및 추진 과정을 투명하게 공개합니다.

지배구조

기후변화와 관련된 위험과 기회에 대한 이사회 관리·감독 활동

한미글로벌은 2021년부터 이사회 내에 ESG 위원회를 설치하여 최고 의사결정 기구를 통해 기후변화 대응을 관리·감독하고 있습니다. ESG 위원회 규정에 따라 사외이사를 위원장으로 하고, 사외이사가 위원회 위원 총수의 과반이 되게 하여 기후변화와 관련된 이사회의 관리·감독 역할에 독립성을 강화하였습니다. ESG 위원회는 매년 6월 기후변화 대응을 포함한 ESG 이슈별 중대성을 평가하고, 한미글로벌 2030년 온실가스 감축목표 등 중 장기적 관점의 기후변화대응 방향을 결정합니다.

기후변화와 관련된 위험과 기회를 평가하고 관리하는 경영진의 역할

2021년부터 한미글로벌 경영총괄 사장은 ESG 위원회 사내이사 위원으로 선임되어 기업의 기후전략 이행을 주도합니다. CEO 및 주요 경영진은 CEO 단상을 통해 기후변화 관련 정책 동향, 국내외 주요 기업 전략, 건설의 친환경 혁신을 주도하는 프로세스 혁신 등 전문지식을 공유하고 사내외에 소통함으로써 기후변화 대응 역량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실무 주관조직인 건설전략 연구소는 ESG 실무협의체에 포함된 각 조직 및 자회사와 긴밀히 협력하여 기후변화 대응 전략의 추진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전략

기후변화 리스크 관리 프로세스

기후변화 시나리오 분석

기후변화와 관련된 위험과 기회가 조직의 사업, 전략 및 재무 계획에 미치는 영향

한미글로벌은 전 가치사슬을 바탕으로 기후변화가 사업활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단기 및 중장기적 리스크와 기회 요인을 파악하여 이슈풀을 구성하였으며, 중대성 평가를 통해 급격한 기후변화에 따른 프로젝트 인력의 노동 효율성 감소, 자원 및 에너지 효율성이 높은 사업장으로의 전환 요구 증가에 따른 사업장 탈탄소화 대응 비용 증가, 에너지 효율화 건축물에 대한 시장내 수요증가에 따른 대응 R&D 확대 등 15개의 주요 대응 필요 이슈사항을 도출하였습니다. 도출한 이슈사항 중 기업의 재무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주요 인자의 발생가능성과 영향 정도를 평가하였습니다.

기후변화 관련 위험 및 기회 요인 평가 결과 매트릭스

기후 리스크 및 기회 요인 식별과 중대성 평가

식별된 기후변화 관련 위험 및 기회 요인
구분 세부 번호 리스크 / 기회 요소 대응 현황 및 계획 중대성 평가 결과
단기 중기 장기
Physical risk
(물리적 리스크)
Acute R1 급격한 기후변화에 따른 고온현상으로 프로젝트 인력 노동효율성 감소 안전보건 교육 강화 및 현장여건 개선 지원
Chronic R2 기후변화로 인한 건설 및 프로젝트 수행환경의 변화 탄소중립 로드맵 및 이행 전략 수립
Transition risk
(전환 리스크)
Policy and Legal R3 기후공시 의무화에 따른 기후변화 관련 정보 공시 의무화 탄소중립 로드맵 및 이행 전략 수립
R4 자원 및 에너지 효율성이 높은 사업장으로의 전환요구 증가 탄소중립 로드맵 및 이행 전략 수립
R5 에너지 효율화 건축물에 대한 시장 요구 확대에 따른 프로젝트 내 인증제도 확보 필요 원가 예측 기술 고려
Market R6 원자재 수급 불균형에 따른 원가 변동성 증가 원가 예측 기술 고려
R7 온실가스 배출량 정보 공개제도의 강화 탄소중립 로드맵 및 이행 전략 수립
R8 전력부문 탈탄소 에너지 전환비용의 전가로 인한 전력가격의 상승 효율적 에너지 효율화 전략 이행
Technology R9 기후변화 관련 전문인력의 확보 및 기술의 확보 실패 탄소중립 관련 기술 R&D 투자 확대
Reputation R10 기후대응/탄소중립 관련 평가등급 저조로 인한 평판 하락 주요 투자자 및 이해관계자와의 커뮤니케이션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통한 주요 전략 및 성과 공개
Reputation R11 건설업종이 기후변화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산업으로의 인식 주요 투자자 및 이해관계자와의 커뮤니케이션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통한 주요 전략 및 성과 공개
Opportunity (기회) Market O1 기후변화로 인한 지속가능 관련 물리적 리스크 증가로 건축물 수요 증가 에너지 효율화 건축물에 대한 내부 R&D 투자 확대
O2 건설 프로젝트 과정에서 프로세스 효율화를 통한 원부자재 사용량 및 폐기물 발생량 감소 등 원가 절감 프로젝트 내 탄소중립 관련 기술 고려
O3 에너지 효율화 건축물에 대한 수요 증가로 리모델링 및 신규 시장 사업 시장 확대 에너지 효율화 건축물에 대한 내부 R&D 투자 확대
O4 건물부문의 Net-Zero, RE100 요구 증가로 인한 건축물에 대한 친환경 기술 수요 증가 프로젝트 내 탄소중립 관련 기술 고려

위험관리

기후변화 관련 위험을 식별, 평가, 관리하는 조직의 프로세스

한미글로벌의 위험관리는 전사 리스크 관리(ERM) 체계에 따라 리스크 파악 및 식별, 평가, 대응, 대응 후 모니터링 활동이 사업 전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특히 사업 및 투자 추진 시 초기 단계와 운영 단계에 맞게 리스크 관리를 체계화하여 단계별로 리스크 대응을 최적화하고 있으며 리스크 발생 가능성이 인지 될 경우에는 '리스크 전담 조직 → 리스크 책임자 → C-Level' 순서로 보고됩니다. 또한 당사 환경경영인증(ISO14001) 체계 내에 서 주요 사업의 기후변화 관련 위험을 절차에 따라 모니터링하고, 조치사항들이 각 조직에서 이행될 수 있도록 합니다.

기후변화 관련 대응 심의 체계

ISO 14001: 환경경영 시스템 인증

기후변화 중대성 평가 프로세스

한미글로벌은 기후 관련 리스크 및 기회 요인 중 기업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항목을 식별하고, 이에 따른 잠재적 재무 영향 분석 및 대응 체계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한미글로벌은 TCFD 권고안을 바탕으로 중대성 평가 절차를 마련하였으며, 유관 부서에서 전환 및 물리적 리스크, 기회 요인을 1차적으로 도출한 후 내·외부 전문가의 평가를 통해 중대성 평가 풀(pool)을 구성하고 있습니다. 식별된 기후변화 요인은 비즈니스 환경에 미치는 영향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여 우선순위를 선정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발생 시기(Duration), 영향 규모(Magnitude), 발생 가능성(Likelihood) 등 다양한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였습니다. 또한 중대성 평가 시 유관 부서의 의견을 수렴하고 이를 평가 결과에 반영함으로써 체계의 정합성과 실효성을 지속적으로 고도화하고 있습니다.

지표 및 감축 목표

조직이 기후변화와 관련된 위험과 기회를 평가하기 위해 사용하는 지표

한미글로벌은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에 의거한 온실가스 에너지 목표관리제 대상기업은 아니지만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자발적으로 온실가스 및 에너지 데이터를 관리 및 공개하고 있습니다. 환경부 행정규칙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에 따른 운영통제 범위 내의 온실가스 배출현황을 추적하고 감축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건설 프로젝트에 대한 PM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로서 구성원의 상당수가 발주처 또는 시공단의 업무 공간을 공유함에 따라 운영통제 범위에 포함되는 본사 에너지 및 전력 사용, 본사와 현장의 업무 차량 운행 등 추적 관리 가능한 기업 활동에 대한 환경지표를 관리하고 있습니다.

온실가스 배출량
구분 단위 2022 2023 2024 2024 목표
직접 온실가스 배출량 (Scope 1) 1 tCO₂eq 235.0 222.9 253.8 -
간접 온실가스 배출량 (Scope 2) 2 39.8 45.1 50.3 -
합계 274.9 268.0 304.1 261.3
온실가스 배출량 집약도 3 tCO₂eq/천억 157.6 157.1 174.4 150.1
간접(기타, 가치사슬) 온실가스 배출량 (Scope 3) tCO₂eq 1,990.7 2,280.2 2,403.8 -
온실가스 총 합계 2,265.6 2,548.2 2,707.9
  • 국내사업장의 온실가스 배출 대상 면적 산정 기준 변동에 따라 2021년 환경정보 공개 수치가 변동됨
  • 인벤토리 구축을 통한 진행방식이 아닌 한미글로벌 본사차원의 온실가스 배출량 관리 목적으로 산정
  1. 1 본사 도시가스 사용 및 본사·현장의 차량 운영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
  2. 2 본사 전력 사용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
  3. 3 온실가스 배출량 원단위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별도)손익계산서 매출액으로 나눈 값
에너지 사용량
구분 단위 2022 2023 2024 2024 목표
가솔린 TJ 1.2 1.3 1.9
디젤 1.4 1.0 1.1
LNG 1.1 1.2 1.0
전기 0.8 0.9 1.1
에너지사용량1 4.5 4.5 5.0 4.3
에너지사용량 집약도2 TJ/천억 2.6 2.6 2.9 2.5
  • 에너지 사용량 산정 범위 확대 및 면적 산정 기준 변동에 따라 2020년, 2021년 환경정보 공개 수치가 변동됨
  1. 1 에너지 사용량은 본사 도시가스·전력 및 본사·현장의 차량연료 사용량을 합산한 값 (차량연료 사용량은 법인 운영 차량의 유류대, 주행거리 등을 통해 추정)
  2. 2 에너지 사용량 원단위는 에너지 사용량을 (별도)손익계산서 매출액으로 나눈 값

기후변화와 관련된 위험과 기회 및 성과를 관리하기 위해 조직에서 사용하는 목표

한미글로벌은 2027 비전에 ESG 경영을 포함하고 중장기 기후변화대응 목표, 전략과제, KPI 및 조직별 추진과제를 수립하였습니다. 2022년을 원년으로 하여 2030년까지 매년 2.5% 감축하여 2030년 20% 감축을 목표로 설정하였습니다. 기술 엔지니어에 의한 서비스 제공을 주요 업으로 하는 당사 사업 특성 상, 매출 증가에 따른 인력 운용의 증가는 이동수단 이용에 따른 에너지 사용량 및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로 이어집니다. 따라서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목표와 함께 배출량 집약도 목표를 설정하여 관련 성과를 관리할 예정입니다.

범위 기준연도 기준 배출량 2030년 목표배출량
Scope 1,2 배출량 2022년 275tCO₂eq 220tCO₂eq
Scope 1,2 배출량 집약도 158tCO₂eq/천억 126tCO₂eq/천억

환경경영

한미글로벌은 저탄소 경제로의 전환을 위한 도시·공간·생활 인프라의 녹색 전환, 저탄소·분산형 에너지 확산, 녹색산업 혁신 생태계 구축 목표에 기여하는 다양한 프로젝트에 참여하며,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이라는 국가 장기 저탄소 발전전략에 공헌하고자 합니다. 건설 활동은 본질적으로 크고 작은 자연 훼손을 내포하고 있어 사업 자체를 두고 보전과 개발 간의 갈등 발생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기획, 설계, 시공, 운영 및 유지관리에 이르는 전반적 건설사업 단계에서 환경보전에 대한 가치가 존중되는 시스템이 필요합니다. 한미글로벌은 개발, 설계, 건설PM, 시공 등 건설 전 과정에 대한 엔지니어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으로서 친환경 건설에 방점을 두고 기후변화대응 목표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폐기물감축과 자원순환

자원순환 자재 사용

한미글로벌은 녹색건축인증 등 친환경 설계 지침을 적용하고, 자원순환 자재를 우선 사용함으로써 건축물의 환경영향을 저감합니다. 환경표지인증서를 받은 자재, GR 인증 제품을 포함한 자원 순환자재를 사용하여 건축물 환경 부하 저감을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 현장 시공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또한 주요 건축 내/외장재와 부자재에 환경성선언 (EPD) 제품, 저탄소 자재, 자원 순환성, 유해물질저감 등 친환경 자재가 적용될 수 있도록 건물 발주처와 긴밀히 협의하며 시공단계 PM 및 친환경 컨설팅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자원순환시설 건설

한미글로벌은 기존 건설사업관리ㆍEPC 등을 수행하며 축적된 역량과 친환경 혁신 기술을 바탕으로 효율적인 자원순환, 폐기물 시설을 건설하고 환경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데 앞장서고 있습니다. 소각장, 플라스틱 및 유기성자원 순환 플랜트 사업을 지속적으로 수행하며, 폐기물 처리 및 생활 인프라의 녹색 전환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왔습니다. 당사는 PM으로서 기술, 공정, 안전 및 환경, 품질, 성능검사 검토, 사용승인 허가까지를 종합적으로 관리할 뿐 아니라, 일부 프로젝트에서 초기 기획 및 최종 EPC 사로서 책임 준공까지 수행하고 있습니다.

지이케미칼 생활계 폐기물 재활용 사업

규모: 폐플라스틱 일 처리 규모 135 톤(PET Bale 115톤/일, PE/PP Bale 20톤/일) 사업장으로 자원순환시설 분야 전문 엔지니어링 역량을 바탕으로 일회성 플라스틱 자원의 효율적인 재활용을 위해 건설 사업에서 설계, 시공, 운영 등 전과정에 걸쳐 참여 하였습니다. 검증된 최신 설비와 축적된 자원순환시설 전문성을 토대로 모든 자원순환시설의 Lessons Learned 항목을 반영하여 한 단계 업그레이드된 시설로 계획되었습니다.

생물다양성보호

현장과 현장 주변의 식생 및 멸종위기 생태종을 보호하고자 계획 수립시부터 생태계에 미칠 영향을 선제적으로 분석하고 지역환경 및 생물다양성 유지를 위한 설계와 건설공법 적용을 검토합니다.
환경영향평가를 통해 현장 인근의 멸종위기종 및 천연기념물 등 보호종을 식별하고, 서식지 보전 및 대체 서식지 마련 등 보호 대책을 마련하여 이행하고 있습니다.

주요 생태계 보호 활동 현황

사업명 제주 도시 공원 시설PM 부천공동주택 신축공사 수원대유평지구 기반조성공사
보호종 » 조류 - 벌매, 두견이, 팔색조,긴꼬리딱새, 원앙, 흰목물떼새
» 양서·파충류 - 맹꽁이
» 곤충 - 애기뿔소똥구리
» 식물 - 섬오갈피(제주시 보존자원관리조례 보존자원 지정 대상식물)
» 포유류 - 삵
» 조류 - 큰기러기, 원앙, 흰꼬리수리, 황조롱이, 새호리기, 흰목물떼새, 종다리
» 양서·파충류 - 맹꽁이, 도롱뇽, 능구렁이
» 포유류 - 삵
» 조류 - 새호리기, 붉은배새매, 큰기러기, 황조롱이, 소쩍새, 원앙
» 양서·파충류 - 도롱뇽, 한국산개구리
» 식물 - 왕벚나무
보호활동 » 지구 내 기 훼손지역을 중심으로 시설물 배치 계획
» 대체 서식지로 이동할 수 있도록 시간적 여유를 둔 공정관리 계획 수립
» 야행성 동물 서식지역과 인접 작업 시 야간작업 금지
» 공사장비 적정 투입, 장비 속도제한(20㎞)을 통해 소음 및 진동 최소화
» 비산먼지로 인한 주변 식생 영향 저감을 위해 방진망 설치
» 곰솔 254주, 올벚나무 30주, 팽나무 6주 등 총 290주 수목 이식 계획
» 사면구간, 공사차량 등에 PVC천막, 방진망 설치 및 주기적 살수를 통해 비산먼지 발생 최소화
» 귀화식물 유입 차단
» 생태계교란 생물 종별로 집중제거 기간에 제거작업
» 조류 충돌 방지 테이프, 프리트 패턴, 데칼 등의 적용을 통해 야생조류 충돌 예방
» 건축물 간 충분한 이격거리 확보
» 저소음·저진동 장비 사용
» 공사관계자들 자연보존교육 실시
» 훼손수목 처리
» 야간작업 지양
» 동물 이동 예상 지역에 일정기간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여 새로운 서식지 확보 및 환경 적응 지원
» 조명 피해 최소화

환경인식 제고

환경 교육 실시

한미글로벌은 구성원의 친환경 인식을 높이고, 친환경 건설 프로젝트의 수행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교육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2024년에는 탄소중립 환경이 건설산업에 미칠 영향을 다각도로 분석하고 외부 전문가, 경영진, 구성원들이 관련 기회를 논의하는 세션을 가졌습니다. 또한 GPMU(Global PM University)를 통해 ESG 경영, 친환경 건축, 신재생에너지 사업 등 회사의 방향성을 이해하고 건설 환경관리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교육을 제공하였습니다. 지속적으로 건설 전과정에 걸친 환경 관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룹사 및 건설관계자 대상 교육기회를 확대하여 환경오염 저감을 위한 노력을 활성화할 계획입니다.

환경교육 실시내역 주요내용
탄소중립환경 기반 건설 비즈니스 변화 탄소중립 건설부문 목표에 대한 이해 및 제로에너지빌딩(ZEB) 계획과 PM, 3회 외부 전문가 초빙 교육
친환경 건축의 이해 친환경 건설 PM 실무 및 차세대 건설사업(OSC, 인공지능 등) 이해 제고
신재생에너지 사업의 이해 태양광, 해상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설 건설사업 관리 역량 강화
ISO 인식개선프로그램(ISO 14001 포함) 환경경영시스템의 대내외 이슈 및 당사 인증 심사의 다년간 결과 분석
ESG 경영의 이해 ESG 경영 추진의 방향성 이해 및 내재화

현장 단위 지역사회 공헌 활동

한미글로벌은 1996년 창립 이후 현재까지 ‘구성원들에게 일하기 좋은 기업을 만들어 행복한 일터를 제공한다'는 미션 아래 핵심 조직문화인 ‘행복경영’ 을 통해 조직 단위 사회공헌 활동을 적극적으로 실천해오고 있습니다. 당사는 국내외 약 200여개 현장 조직을 운영하고 있으며, 지역 및 현장 인원 등 조직 특성에 맞는 활동들을 자발적으로 계획하고 실행하여 지역사회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건설 현장 주변 환경 미화, 조직별 플로깅 등 지역사회 공헌을 포함한 행복경영 활동을 조직별 KPI 에도 반영하여 전사 차원에서 독려하고 있습니다.

MS PUS05 데이터센터 건설공사 현장
부산 강서구 현장 주변 환경 정화
하나드림타운 그룹헤드쿼터 건설공사 현장
현장 인근 환경정화

환경을 생각하는 지속가능한 공간복지

한미글로벌은 공간복지 지원사업 ‘드림하우스’ 프로그램을 통해 소규모 장애인 시설의 환경개선을 지원합니다. 노후 창호 교체, 외부 단열 성능강화, LED등 교체 등을 통해 전력소비 및 에너지 낭비를 줄임으로써 온실가스 배출 저감 뿐만 아니라 시설의 운영비를 절감하고, 장애대응 시공을 통해 시설 이용자 편의를 향상시킵니다. 또한 24년 기후 위기 대응력 강화를 위한 공간복지, 순환경제 생산품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친환경 장애인일터 만들기 ‘함께그린사이클(Green Cycle)’ 을 운영하였습니다.

2024년 친환경 시공 내역 적용시설
천장 단열보강, LED등 교체 성모자애보호작업장
노후 창호 교체, 고효율 냉난방기 교체 누야하우스
가스차단기 설치, 노후 창호 교체 예스홈
고효울 보일러 설치 및 LED등 교체 구로장애인자립생활센터
화장실 단열 시공 통한 전력소비 절감 서은단기주간시설
공간복지 전/후 단열효과 비교(적외선 카메라 촬영)

친환경 서비스 영역 확대

한미글로벌은 2050 국가 탄소중립 목표상 32.8%를 차지하는 건물 부분 목표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기술개발과 엔지니어링 솔루션을 통해 탄소 중립 목표 달성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국내 건설산업이 효과적으로 탄소배출을 감축하기 위해서는 건설의 생애주기 단계별 탄소배출 구조와 원인을 파악할 필요가 있습니다. 건설 사업은 자금조달, 기획 및 설계, 자재생산 및 운송, 시공, 운영 등 활동을 거치며 탄소가 배출되는데, 건설자재 생산 관련 내재탄소, 건물 운영 단계의 운영탄소 발생이 전 생애주기 발생량의 약 80%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한미글로벌은 목재를 활용한 저탄소 설계 기술, 해상풍력 설비 국내 최고 수준의 건물 에너지 관리시스템 솔루션 제공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당사는 기획 및 설계, 건설 및 운영에 이르기까지 필요한 전문적인 엔지니어링, 사업에 최적화된 친환경 기술 및 체계적인 사업 관리를 통해 고객과 지역사회에 기술 기반 솔루션을 제공할 것입니다. 각 분야별 전문 엔지니어들로 구성된 운영조직은 차별화 된 기술력으로 프로젝트의 전 생애주기에 걸친 지속가능성 향상에 기여할 것입니다. 지난 20년간 끊임없는 기술개발을 통해 컨설팅, 시스템, 솔루션의 기능을 고도화 하고 있으며, 궁극적으로 당사 통합 플랫폼 내에서 고객들이 환경·에너지·기후변화 관련 모든 서비스를 원스톱으로 제공받을 수 있게 하는 친환경 Total Solution Provider로 자리 매김 하고자 합니다.

2025년 스마트그린솔루션 보급 목표

1,000고객사

2025년 신재생에너지 참여사업 용량 목표

5,000MW

탄소배출저감 엔지니어링

전과정평가(LCA)를 통한 건축물 탄소배출저감 관리

국내 건축물 정책은 대부분 사용 에너지를 절약하는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며, 그 중 녹색 건축 인증에서 자원절약적인 재료의 사용이나 환경성적표지 인증 자재의 사용, 저탄소 자재의 사용 등을 다루고 있을 뿐입니다. 이러한 제도는 건축물에 투입되는 자재 생산 과정이나 건축물 폐기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배출은 고려하고 있지 못한 실정입니다. 한미글로벌 프리콘은 설계 검토, 공사비 관리, 일정 관리, 품질 관리 등의 기존 관리 요소와 함께 탄소배출저감을 위한 설계 관리 및 건축물 전과정영향평가 시스템을 도입하고 실행합니다. 생산 과정에서 이산화탄소 배출이 적은 자재의 사용 기준 및 폐기 시 발생되는 환경 영향까지 고려한 표준화된 시스템을 구축합니다. 이에 따라 에너지 절감 중심의 정책 및 기준의 준수를 넘어, 건축물에 투입되는 자재와 사용 및 폐기 전과정 관점에서 친환경 건설을 실현합니다.

탄소배출 저감을 위한 주요 관리 요소 및 분석 시스템 항목

건축물에 대한 환경 영향의 고려는 단지 에너지 사용을 줄이는 수준을 넘어
지속가능하고 친환경적인 자재사용을 통해 건축물 생산 단계에서 발생하는 영향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건축물의 전과정영향평가가 필수

태양광 및 지열 등 자연에너지 활용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건물에서의 에너지 소비를 줄이고 재생 가능한 에너지원을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태양광과 지열과 같은 자연 에너지의 효율적 사용을 통해 건물의 운영탄소를 감소시키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하고 적용해야 합니다. 태양광 패널의 설치와 지열 히트펌프 시스템의 도입은 건물의 에너지 효율을 크게 향상시키며, 장기적으로는 에너지 비용 절감과 환경적 이득을 동시에 가져올 수 있습니다. 이러한 자연 에너지 기술의 적용은 건물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고, 궁극적으로 탄소중립 사회로의 전환을 가속화하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각세종 프로젝트

네이버의 최신 데이터센터인 각 세종은 현대 기술과 자연 친화적인 설계를 결합하여 지속 가능한 미래를 지향합니다. 이 데이터센터는 총 면적이 축구장 41개에 해당하는 29만3963㎡의 하이퍼스케일 규모로, 네이버의 첫 데이터센터인 각 춘천에 비해 6배나 더 큰 규모를 자랑합니다. 각 세종은 태양광과 지열 에너지를 활용하여 전력 사용량을 줄이고,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낮추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태양광 패널을 서버동 옥상에 설치하여 연간 184MWh의 전력을 생산하며, 지열 히트펌프를 통해 효율적인 냉난방 시스템을 구현하여 연간 1만3363MWh의 전력을 절약하고 있습니다. 한미글로벌은 각세종의 지속가능한 토지사용, 에너지와 대기환경, 실내환경 등 9가지 분야의 평가로 구성된 LEED인증(친환경 건축물 인증)에서 플래티넘 등급을 획득하였습니다.

네이버 데이터센터 각 세종 - PM + CS
서버동 상부 태양광패널 설치
운영동, 숙소동 지열히트펌프 설치

Mass Timber(중목구조) 적용 저탄소 설계

2050 탄소중립을 달성을 위해서는 건물의 내재탄소 탄소발자국을 선진국 수준으로 줄이는 저탄소 건축자재 도입이 필수적입니다. 한국은 최근 몇 년 사이 세계 각지에서 논의되고 있는 목조 건축물의 고층화, 목질 도시화를 위한 기술 개발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적용할 필요가 있습니다. 실제로 목구조 제품은 자재 내에 탄소를 저장하여 대기 중으로 탄소가 방출되는 것을 지연시킵니다.

하나드림타운 그룹헤드쿼터 프로젝트

NBBJ, 간삼, 건원의 설계와 한미글로벌이 PM을 수행중인 하나드림타운 그룹헤드쿼터 프로젝트는 대표적인 친환경 프로젝트입니다. 총 면적 128,474㎡의 규모로, 하나은행의 본사로서 활용될 예정입니다. 하나드림타운 그룹헤드쿼터 건물은 태양광과 지열 에너지를 활용하여 전력 사용량을 줄이고,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낮추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지붕 옥상에 1,236m2 면적의 태양광 패널이 설치되었으며 8대의 밀폐형 지열 시스템을 설치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현재 시공단계에서 녹색건축 예비인증 최우수(그린1등급)을 획득하였습니다.

하나드림타운 그룹헤드쿼터 프로젝트

스마트 그린 솔루션

온실가스 및 에너지 관리 솔루션

건물 운영 단계에서 소비되는 에너지·온실가스를 관리하는 시스템은 건물분야 탄소중립의 핵심적인 요소입니다. 한미글로벌 자회사 에코시안은 ‘환경·에너지 분야 지식산업을 선도하는 세계 최고의 전문가 집단’을 비전으로, 최고의 실적과 전문인력을 보유한 국내 No. 1 환경 컨설팅·에너지 솔루션 기업입니다. 한미글로벌의 건설사업관리 능력과 에코시안의 에너지 효율화 등 친환경 컨설팅 능력이 융합되어 그린빌딩, 건설 IT, 신재생 에너지 부문에서 시너지효과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건물 에너지 사전 평가 및 실내 환경·에너지 성능 최적화를 통해 에너지 낭비를 줄이고, ICT 연계 첨단 시스템을 활용하여 전기·에너지 낭비를 줄임으로써 저탄소 녹색건축물을 구현합니다. 2022년 4건, 2023년 1건의 기술 특허를 출원 및 등록하고, 동 기간에 17건의 정부 기술 R&D 과제를 수행하였으며 2023 년 3월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로부터 건물 에너지관리시스템(ES-BEMS) 소프트웨어 품질인증(Good Software)을 획득하였습니다. 2024년에는 건물 공간별로 이용자의 쾌적성을 유지하는 가운데 에너지 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는 “AI 기반 공간 자율 제어 기술” 개발을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한미글로벌은 에코시안과 협업하며 고도화된 에너지관리시스템과 축적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환경 관련 이슈에 대한 종합적인 컨설팅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에너지·온실가스 관리시스템 구성요소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 Big Data 분석 플랫폼

친환경 건축 솔루션

한미글로벌은 USGBC* 참여 멤버로서 그린 빌딩 부문의 에너지 시뮬레이션 및 최적화 기술을 기반으로 LEED* 인증, 친환경 건축 인증 및 빌딩 에너지 최적화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LEED 인증 및 제로에너지빌딩 구현의 필수 요소인 건물에너지관리 시스템 구축 및 운영단계 에너지 컨설팅에서 다수의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최고의 기술력과 경험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기획단계부터 에너지 절감 로드맵을 수립하여 기술 검토 및 설계 가이드를 제시하며, 기획 및 설계 의도가 구현될 수 있도록 친환경 시공관리를 수행합니다.

  • USGBC(U.S. Green Building Council): 건물 설계, 건설 및 운영의 친환경성 및 지속가능성을 촉진하는 비영리 단체로 LEED 그린 빌딩 등급 시스템을 개발·인증
  • LEED(Leadership in Energy and Environmental Design) : 친환경 건물 인증제도

검단 물류센터 - PM + CS, LEED
West Gate 타워 - Consulting

ESG 레벨업 솔루션

국제기후변화협약 파리협정 체결에 따른 전 지구적인 탄소중립 추진과 글로벌 ESG 경영 요구 증대에 따라, 기업들은 자사의 공급망을 포함하여 전 사업분야 대한 저탄소 전환 및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한미글로벌 자회사인 에코시안은 친환경·에너지 전문 컨설팅 기업으로서 “ESG 레벨업 솔루션” 브랜드 하에서 기업의 국제 친환경 경쟁력 및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한 토털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ESG 레벨업 솔루션”은 지속가능성 진단부터 전략의 수립과 이행, 성과 모니터링에 이르기까지 기업들의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한 전 과정을 지원합니다. 공급망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과 제품 전과정평가 등을 통해 실효적 탄소중립 방안을 제시하고, 에너지 관리시스템 구축, 신재생에너지 도입 타당성 분석 등 에너지 사용과 비용 절감을 위한 방안을 제시합니다. 또한 화학물질 및 오염물질 관리, 수자원 관리, 환경보건안전 관리시스템 구축을 통해 환경규제에 통합적으로 대응하고, 폐자원 활용 신사업 발굴, 자원순화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기업들에게 친환경 분야에서 새로운 사업기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지속가능한 성장을 지원합니다.

  • 지속가능 경영전략 수립
  • 글로벌 이니셔티브 및 공시 대응
  • ESG 통합 관리체계 수립
  • ESG 통합 관리시스템 구축(ES-ESG)

실효적 탄소중립 방안을 제시합니다.

  •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Scope 3)
  • 온실가스 감축사업 발굴 및 등록
  • 친환경 공급망 관리 및 제품 LCA 분석
  • 온실가스 관리시스템 구축(ES-ETS)

에너지 사용과 비용이 절감됩니다.

  • 에너지 관리체계 진단
  • 에너지 효율화 및 성과 관리
  • 신재생에너지 도입 타당성 검토(RE 100)
  • 에너지관리시스템 구축(ES-xEMS)

환경규제에 통합적으로 대응합니다.

  • 화학물질 및 오염물질 관리
  • 수자원 관리 체계 구축
  • 통합환경허가 대응
  • 환경보건안전 관리시스템 구축(ES-EHS)

자원순환을 통한 새로운 사업기회가 열립니다.

  • 전과정 자원순환성 강화
  • 자원순환 네트워크 구축
  • 폐자원 활용 신사업 발굴 및 기획
  • 산업공생 플랫폼 구축(ES-RMS)

신재생 에너지 환경플랜트

신재생에너지시설 건설 기술

한미글로벌은 저탄소 경제로의 전환을 위한 도시·공간·생활 에너지 인프라의 녹색 전환, 저탄소 ·분산형 에너지 확산 등 다양한 프로젝트에 참여해 왔습니다. 특히 지난 10년간 태양광,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사업을 지속적으 로 수행하며 신재생에너지 건설 사업에서 독보적인 기술 역량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국내외 환경 플랜트, 태양광 및 육·해상 풍력발전소 등 대규모 신재생에너지 사업의 참여 경험을 바탕으로 부유식 해상풍력 발전 건설 사업 등 차세대 기술 역량을 확보할 예정입니다.

한림 해상풍력 발전사업

한림 해상풍력 발전 사업은 제주시 한림읍 수원리 해상에 100MW급 풍력발전 단지를 설치하는 사업입니다. 총 사업비 5400억원 규모 사업으 로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 2050 탄소중립 목표, 제주시 Carbon Free Island 2030 목표 달성에 크게 기여하는 프로젝트입니다. 한미글 로벌은 네덜란드 해상풍력 전문 컨설팅사인 Pondera와 컨소시엄을 구 성하여, 한미글로벌의 육상풍력 노하우와 유럽 선진 해상풍력 기술을 기 반으로 신재생에너지 발전 프로젝트 기술 지원을 지속할 예정입니다.

당진 초락도리 염해부지 태양광발전사업

당진 초락도리 염해부지 태양광발전사업 당진 초락도리 염해부지 태양광발전사업은 충청남도 당진시 석문면 초락도리 일원에 위치한 대규모 친환경 에너지 프로젝트로, 기존 간척지 중 염해로 인해 농업 생산성이 낮은 유휴 부지를 활용하여 총 160메가와트(MW) 규모의 태양광 발전시설을 건설하는 사업입니다. 본 사업은 크게 2단계로 나누어 추진되며, 1단계에서는 110MW, 2단계에서는 50MW의 발전 용량을 확보하게 됩니다. 사업이 진행되는 부지의 전체 면적은 약 5.1백만㎡로, 이는 축구장 약 700개에 달하는 방대한 규모로, 국내 최대급 태양광 개발사업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임자 태양광 발전사업

임자태양광 발전사업은 전라남도 신안군 임자면 일원의 효용가치가 떨어지는 폐염전부지에 100MW급의 태양광 발전소를 조성하는 1800억원 규모의 친환경 에너지 사업 입니다. 태양광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기는 36,000여 가구에서 사용 가능하며, 이는 신안군 전체 가구에서 사용하는 전기의 약 1.7배에 달하는 용량을 친환경적으로 대체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서산일조빛태양광발전사업

서산 일조빛 태양광은 충청남도 서산시 간척지에 41MW 급의 대규모 태영광발전소를 건설하는 사업 입니다. 축구장 면적의 약 50배인 12만 6천만평 규모의 부지에 41MW급 태양광 발전소 및 12km의 송전선로가 설치되며 연간 발전량은 5만 7전 MWh로 서산시 일반가정 전체 세대가 약 2개월 사용가능한 용량입니다. 한미글로벌은 EPC 및 O&M 시공 단계부터 준공까지 종합적인 사업관리 서비스를 제공했습니다.

건설프로세스 및 기술 혁신

한미글로벌은 프리콘과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통해 고객에게 더 나은 서비스 제공방안을 구체화하기 위해 최신 기술과 전문적인 노하우를 접목시키며, 지속적인 혁신과 개선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한미글로벌은 글로벌 최고 수준의 전문가들로 기술지원 조직을 구성하고 전 분야에 걸쳐 종합적이고 전문적인 기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기술지원조직은 현장에 파견된 전문 인력과 긴밀하게 협력하여 한미글로벌이 보유한 기술과 역량이 실제 현장에서 가장 이상적으로 적용되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저출산 고령화, 대도시 집중화, 집중과 탈집중의 균형, 디지털 대전환, 탄소 중립, 방역 및 방재, 저성장 뉴노멀, 글로벌 가치 사슬, 산업 경계 재설정 등 국내외 건설 메가 트렌드의 변화에 대응하여 건설 산업의 혁신을 위한 연구를 계속해 나갈 것입니다. 산업의 근본적인 체질 개선을 위한 시의 적절한 연구 주제를 발굴하여 산업의 미래 목표 및 전략을 제안하고 건설 산업 전체가 협력하고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해 나갈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예정입니다. 지식경영 시스템을 고도화하여 프로젝트 업무 생산성 향상 및 지식자산 가치 상승으로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노력할 것입니다. 다양한 데이터 간 연결과 통합을 지원하는 지식융합 플랫폼을 구현하고 새로운 지식 창출의 장에서 구성원의 지식과 아이디어를 확보하여 지속적으로 성장, 발전시켜 차별화된 기업의 핵심 역량으로 만들어 나갈 예정입니다.

2027년 프리콘매출 비중 목표

30%

2027년 Digital Tool 도입 현장 수

80개소

프리콘 기반 친환경 건축물 건설

도시 인프라 한계, 기후변화와 자원 부족, 환경 문제로 인해 지속 가능한 건축물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건축물의 수명 연장, 에너지 효율성 향상, 재생 에너지 활용 등이 요구되며, 프리콘 단계부터 폐기 단계까지 고려하여 최적화하는 것이 중요 합니다. 건축물의 내재 영향과 환경 영향을 고려하여 친환경적인 자재 사용과 폐기물 최소화에 주안점을 두어야 합니다. 한미글로벌은 프리콘 서비스를 통해 건축물의 전과정 영향을 고려하여 친환경 건축물 건설을 지원합니다.

엔지니어링 역량

한미글로벌은 글로벌 최고 수준의 전문가들로 기술지원조직을 구성하고 전 분야에 걸쳐 종합적이고 전문적인 기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기술지원조직은 현장에 파견된 전문 인력과 긴밀하게 협력하여 한미글로벌이 보유한 기술과 역량이 실제 현장에서 가장 이상적으로 적용되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한미글로벌 엔지니어링실은 프로젝트 기획, 설계, 원가관리, 시공 등의 분야에서 뛰어난 역량을 갖추고 있으며 선진화된 프로세스에 따라 최상의 엔지니어링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설계 전 단계 (Pre-design)

  • 탄소배출저감 기반의 정부정책 방향을 바탕으로 저탄소·에너지 절감 관련 발주자 요구사항 검토
  • 친환경, 에너지 절감 기반의 설계지침 작성

설계단계 (Design)

  • 자원 절감형 공법 및 건축기술 적용
    • 재활용된 건축자재를 사용하여 순환자원 활성화를 통한 환경영향 저감
    • 유효자원 재활용 자재의 확대 적용과 GR 인증을 받은 자재 적용
    • 재사용이 가능한 자재 적용
    • 자원 절감형 공법 적용(모듈러, PC)
  • 환경성 선언 제품 및 저탄소 인증 자재 사용
    • 환경성적표지·탄소발자국 건설자재로 등록된 환경성선언 제품 사용
    • CO2 저배출 콘크리트·목구조 적용 등 에너지 절약형 건축물 설계·시공
    • Passive Design 적용
    • 고효율 냉난방 시스템
    • 에너지 효율 우수 기자재 적용
    • 신재생 에너지 적용

시공단계 (Construction)

  • 시공계획, 공법 최적화를 통한 최단 자재 운송 및 건설 장비 운전 기간 최소화(PC 공법, Unit Type 커튼월 등)

한미글로벌 AX 서비스 현황

1) AI driven DX

정의

AI 전환이란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하여 기존 업무 프로세스와 시스템을 디지털화하고 자동화하여 업무 효율성과 정확성을 높이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 기반의 의사결정을 지원하고, 업무 수행 속도를 향상시키며, 반복적이고 비효율적인 업무를 최소화합니다. 또한 AI 전환은 조직 내 구성원의 역량 편차를 줄이고, 글로벌 사업 확장 및 신규 비즈니스 모델 개발을 촉진하는 역할을 합니다.

AI 전환 대상 업무

1. 프리콘(Pre-construction) 역량

공사비 예측 시스템 : 공사비 검색 시스템을 활용하여 공사비 계획, 추적, 점검 기능 제공
공정 예측 시스템 : 공정관리 기법을 반영하여 공사지연 방지 및 자원 최적화
자동화된 설계검토
디자인 오류 자동 탐지 (법규 위반 검토, 도면 비교, AI 기반 오류 탐지)
설계검토 시간 단축 (체크리스트 학습, 보고서 자동 생성)
도면 Viewer 제공 (2D/3D 도면 검토 기능)

2. 현장업무

현장업무시스템(MPMS) 운영

On Site App 사용: 현장과 사무실에서 진행되는 이중작업을 제거하여 시간 단축
문서관리 자동화: 문서작성에서 이관까지 원스톱으로 진행

3. 본사 업무

지식 검색 및 자료 제공: HITs와 KM을 활용한 문서 검색 및 AI 기반 보고서 초안 작성
ChatGPT 활용: HanmiGPT 및 최신 LLM(GPT-4.5, Gemini 등) API 제공
데이터 시각화 구축: 경영정보 및 현장 운영정보를 대시보드 형태로 시각화
업무자동화(RPA) 도입: 반복 업무를 자동화하여 업무 생산성 향상

2) HG AI 포탈

정의

당사 구성원의 업무 지원을 위해 다양한 생성형 AI 기능을 통합 제공하도록 개발된 생성형 AI 플랫폼으로써, 기존 HanmiGPT의 기능과 AI 지식 검색 및 업무 지원 기능을 추가하여 신속한 정보 검색과 업무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당사만의 특화된 AI 서비스입니다.

제공 가능한 서비스

당사 자체개발 생성형 AI 시스템인 HanmiGPT의 기능과 다양한 AI 업무지원 기능을 하나의 포탈 페이지에서 한번에 제공하는 플랫폼입니다.

1. AI 채팅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최신 정보를 실시간으로 검색하고 AI 결과와 참조 링크를 같이 제공합니다.

2. AI 지식검색

당사의 인사, 회계 규정 및 각종 매뉴얼 등 당사 Standard 문서를 AI가 학습하여, 직원들이 당사 규정을 실시간으로 쉽게 질문 할 수 있는 Standard 챗봇 시스템 입니다.

3. AI 번역

회의 녹음본과 같은 음성 파일을 업로드하면, AI가 자동으로 업로드 된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여 결과를 제공하며, 이를 기반으로 핵심 내용을 AI가 요약하여 빠르게 제공합니다.

4. AI 이미지 분석

현장 촬영 사진과 같은 이미지 파일을 업로드하면, AI가 이미지를 자동으로 인식하고 빠르게 분석하여 AI 분석 결과를 제공합니다.

5. AI 업무 지원

회의 녹음본과 같은 음성 파일을 업로드하면, AI가 자동으로 업로드 된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여 결과를 제공하며, 이를 기반으로 핵심 내용을 AI가 요약하여 빠르게 제공합니다.

기대효과

  • 사용자 편의성 개선

    다양한 생성형 AI기능을 하나의 AI 포탈 플랫폼으로 통합하여 구성원들이 보다 쉽게 AI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신속한 정보 검색

    새롭게 구축된 AI지식 검색 기능을 통해 당사 인사 회계 규정 및 매뉴얼 등의 Standard 내용을 빠르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업무 생산성 증대

    AI기반의 업무 지원 도구를 통하여 구성원들의 반복 업무를 자동화하여, 업무 생산성을 높이며 당사 서비스 품질 향상에 기여합니다.

3) MPMS

정의

MPMS(Maestro Project Management System)는 현장의 업무와 프로세스를 표준화 및 간소화하여 프로젝트 참여자의 업무 효율성 및 생산성 향상이 가능하도록 한 현장 운영 관리 시스템입니다.

  • 현장 업무 수행 및 관리를 위한 공간이자 프로젝트 참여자의 협업 시스템

  • 현장 업무를 개인의 역량이 아닌 체계 및 프로세스에 따라 데이터를 기반으로 운영 가능한 시스템

  • 관적이며 편의성에 중점을 둔 업무 효율성과 생산성 향상 가능한 시스템

제공 가능한 기능

현장의 업무와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편의성과 효율성을 고려하여 문서 작성, 결재, 저장 및 분류, 검색까지 원스탑(One stop)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기대효과

  • 업무 생산성 향상

    공통의 시스템 상에서 실시간 정보 전달 및 공유를
    통해 즉각적인 피드백(시간절약), 정보 누락 방지,
    문서처리 및 확인(Paperless) 가능
  • 업무 수행 능력 상향평준화

    시스템 기반 프로세스 표준화에
    따른 업무수행으로
    Human Error 최소화
  • 체계적 데이터 관리

    시스템 내에서 문서 작성, 결재, 저장, 관리,
    이관 등 일련의 프로세스를 진행함으로써
    체계적인 데이터 운영 및 관리 가능
  • 리스크 관리 및 절감

    현장 내 실시간 모니터링, 문제점
    사전 파악 등 리스크 관리 및
    예방 가능

4) PM BIM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의 약자로, 건물 및 구조물의 정보를 3차원 모델로 표현하고 관리하는 기술.

정의

HanmiGlobal의 PM BIM 서비스는 프로젝트 전 과정에서 BIM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프로젝트 관리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서비스입니다. BIM 모델을 기반으로 프로젝트의 계획, 설계, 시공, 운영 단계까지 통합 관리함으로써 비용 절감, 일정 단축 및 품질 향상을 실현합니다. 당사의 BIM 전문가팀은 최신 기술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프로젝트의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정확한 의사결정을 지원합니다.

HG PM BIM 서비스범위
사업
계획단계
설계단계 입찰
준비단계
시공단계 유지관리
단계
설계사
BIM TEAM
시공사
BIM TEAM
발주처
F/M TEAM

제공 가능한 서비스

PM BIM 책임자는 철저한 히스토리 관리와 운영 시스템 구축을 통해 프로젝트의 투명성과 효율성을 극대화합니다. 적정성 검증과 설계 오류 검토를 통해 초기 단계부터 오류를 최소화하고, 통합 모델 관리와 협업 및 업무 조율을 통해 모든 이해관계자가 원활하게 소통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합니다.

서비스 내용
계약자간 충돌조정 및 협업 프로세스 관리 BIM 과업지시서 작성 BIM 구현 프로세스를 감독 및 운영관리 BIM 관련 회의 일정을 수립 및 진행 설계 충돌이 발생된 해당 분야 BIM 모델에서의 해결유무 확인 건축/구조/MEP BIM 성과품 품질검토 프로젝트의 모든 변경 사항에 대한 투명한 이력 기록을 위한 히스토리 관리

기대효과

PM BIM Service를 통해 초기 설정한 고객의 가치 목표 달성을 위해 체계적인 관리가 진행됩니다.

5) Construction Cost Navigation

정의

ConsCostNavi(Construction Cost Navigation) 시스템은 프로젝트의 도급공사비 실데이터를 기반으로 공사비의 적정성을 검토하고 공사비 산정 기준의 표준화를 제공합니다. ConsCostNavi를 통하여 프로젝트 원가관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고, 고객에게는 정확한 백데이터 기반의 공사비 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제공 가능한 서비스

1. 전체 프로젝트의 시설별 및 용도별 평당 공사비를 조회할 수 있는 대시보드 제공

3. 유사 프로젝트들을 선택하여 공사비 항목을 한번에 비교할 수 있는 화면 제공

 

2. 프로젝트 수행 당시 공사비를 현재 공사비 지수로 환산하여 검토하는 시스템 제공

4. 수행한 프로젝트의 공사비 상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대시보드 제공

기대효과

  • 실데이터 기반의 공사비 예측 가능

  • 효율적인 의사결정을 지원

  • 프로젝트 리스크 예방

6) On-site Application (현장 안전/품질 관리)

정의

한미글로벌의 On-site App은 현장에서 발생하는 안전 및 품질 이슈를 신속하게 기록하고, 시공사의 조치과정을 효율적으로 모니터링 하기 위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입니다. 안전시정조치지시서(SCAR)와 하자관리(펀치리스트) 업무를 모바일로 등록 및 관리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운영하여 현장 관리의 효율성을 극대화 하고, 현장의 공사를 보다 안전하고 높은 품질로 실현하는데 기여합니다.

사업비 절감
실시간 이슈 등록 - 현장에서 바로 문제를 지적하고 공유
즉각적인 조치 관리 - 지적사항 발행에서 문서관리까지 업무 원스톱 온라인 처리
데이터 기반 분석 - 안전·품질 개선을 위한 체계적인 모니터링

기대효과

  • 업무 효율성 향상

    · 현장에서 업로드한 자료가 실시간 저장되고, 수정할 수 있어 업무 효율성 향상
    · 문서 출력 기능을 통해 부가 작업을 최소화하여 업무 시간 절약 가능
  • 협업 활성화

    · 모바일 App을 활용하여 구성원간 커뮤니케이션 지원
    · 안전, 품질 하자사항 지적 및 조치 결과에 대한 검토, 협업이 용이해짐
  • 자동화를 통한 오류 감소

    · 파일 전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업무 오류 감소
    · 사용자 권한에 따른 편집 영역 을 구분하여 임의의 데이터 수정 및 가공 방지

7) 디지털 트윈 (Digital Twin)

정의

건물과 같은 물리적 자산에 대한 디지털 방식의 총체적 복제를 통해 프리콘(시뮬레이션), 분석, 예측을 함으로써, 3D 데이터 기반의 프로젝트 관리를 가능케 합니다.

제공 가능한 서비스

기대효과

당사 현장 적용 사례

※ 디지털 솔루션 현장 적용

구분 단위 2022 2023 2024
자체개발 솔루션 MPMS 7113
Risk&Zero HG 122929
Construction Cost Navigation 109
상용화 솔루션 BIM 357
Smartsheet 51417
Smart Device & Digital Twin 5910

※ 전사 AI 전환 구성원 교육

전사 AI 전환을 위해 AI & Digital 솔루션 적용 활성화 및 교육 활동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자체 개발 플랫폼 구성 모듈, 프로젝트 관리 업무 지원 프로그램 등에 대해 현장 방문과 온라인 교육을 통해 전달함으로써 실무에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구분 단위 2022 2023 2024
온라인 교육 6410
713747
오프라인 교육 33740
172104396

선진 기술 연구개발 및 지식공유

한미글로벌은 선진 기술 연구개발에 주력하며, 이를 통해 건설 산업의 혁신을 선도해왔습니다. 글로벌 R&D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건설 관련 최신 법제도 및 기업 전략을 벤치마킹하고, 혁신적인 신기술 연구에 몰두해 왔습니다. 이런 노력은 한미글로벌만의 경쟁력을 구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연구 결과는 연구 보고서와 책자로 발간되어 산업 전반에 걸쳐 기술 발전을 촉진합니다.

이러한 연구개발 활동과 더불어 전사적인 지식공유 시스템을 구축하였으며, 이는 한미글로벌의 업무 수행 품질을 향상시키는 기반이 됩니다. 20여 년간 운영해 온 지식경영은 모든 임직원이 지식 등록, 아이디어 제안, Q&A, 실행공동체(CoP) 및 PM 플랫폼을 통해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지식 창출 활동을 활발히 펼치는 문화를 조성합니다. 이는 고객 가치 창출을 위한 방향 설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고객과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목표로 합니다.

한미글로벌은 앞으로도 연구개발 성과를 창출하고 지식경영 시스템을 고도화할 예정입니다. 산업의 근본적인 체질 개선과 사회적 공감대 형성을 위한 연구 주제 발굴에도 주력하며, 건설 산업 전체의 협력과 발전을 위해 노력할 것입니다. 다양한 데이터 간의 연결과 통합을 지원하는 지식융합 플랫폼을 구현하여 새로운 지식 창출의 장을 마련하고, 구성원들의 지식과 아이디어를 확보함으로써 지속적인 성장과 발전을 도모할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프로젝트 생산성을 높여 비효율성을 줄이고, 제한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등 지속가능한 건설산업을 위한 기반을 구축해 나가겠습니다.

수주 연구과제 및 외부발주 연구수행 실적

한미글로벌 건설전략연구소에서는 설립 이래로, 수주 연구과제 누적 24건과 외부발주 연구과제 27건을 수행했습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소는 2003년부터 총 24건의 책자를 발간했습니다. ’24년 한 해는 Digital Transformation(DX)를 넘어서 AI Transformation(AX)의 등장과 IT기술의 발전이 기존의 경제 시스템은 물론 사람들의 삶의 방식(Live, Work, Play)을 바꾸어 놓았고, 한국 건설시장은의 사업분야는 기존 전통적 상품에서 벗어나 수소 에너지, 디지털 플랫폼, 모듈러 등 변화의 시대를 맞이하고 있습니다. 체코 원전 수주를 통해 글로벌 원전 시장에 진출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중동, 서남아시아 등 해외 시장으로의 진출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이에 건설전략연구소에서는 ‘원전 신규사업 수행 및 성과제고를 위한 최적 조직구조 및 모델 도입 필요성 진단 용역’, ‘FAB 건설공사비지수 예측 모델 개발연구 용역’ 등의 연구과제를 국내 및 해외 유수의 기관에 발주하는 등 미래 건설산업 변화에 대응하는 역량을 확보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구분 단위 2022 2023 2024
연구개발 투자금액 백만원 2,169 2,624 2,974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 비율 % 1.24 1.54 1.73

건설 혁신 연구 도서 발간

건설전략연구소는 최고 수준의 미래 핵심 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국내외 석·박사, 기술사 등 분야별 전문가를 지속적으로 확충해 나가는 한편, 국내외 관련 공공 연구기관 및 타 기업의 전문 연구소와 폭넓은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공동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연구 성과를 책자로 발간하여 한국 건설 산업의 중흥에 보탬이 되기 위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HG TECH NEWS

한미글로벌의 기술정보 사례와 글로벌 건설시장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기술총괄 예하 부서인 건설전략연구소, 엔지니어링실, AX실이 협업하여 발간하는 뉴스레터입니다. 또한 당사와 협력 관계를 가지고 있는 재미한인건설관리학회(KACEPMA)에서 최신 글로벌 건설기술 연구 동향을 조사하여 제공하기 위해 참여하고 있습니다. 2024년 'TECH NEWS'는 [건설산업과 ESG], [건설산업 디지털전환과 기술혁신], [건설프로젝트 관리의 미래], [건설산업 최신흐름과 시사점] 네 가지 주제로 분류된 20개의 기사로 구성되어 전 구성원에게 배포되었습니다. 또한 연간자료를 취합하여 도서로 발간한 후, HG고객사에 공유하였습니다.

지식경영시스템

지식경영시스템을 통하여 다른 구성원과 지식을 공유하고 이를 학습하고 활용하여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고 있습니다. 업무활동으로 발생한 산출물을 등록하고 다시 활용하여 경영 활동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총 130만 건의 지식이 등록되어 있으며, 등록된 지식은 평가를 통해 개인이 사용 가능한 포인트를 지급하고 분기별 우수 지식인을 선발하여 지식창출 활동에 동기부여하고 있습니다.

직무발명 아이디어

지속적인 지식 공유와 함께 직무발명 제도를 운영하여 현재 총 50건(국내 47건, 해외 3건)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2024년에는 ‘콘크리트 강도 예측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사용한 컴퓨팅 장치’(특허 제10-2774503호)와 같이 건설 기술과 AI를 결합한 특허를 새롭게 등록하였습니다. 또한, 사내 아이디어 제안 제도를 개편하여 구성원들이 다양한 아이디어를 자유롭게 공유하고 제안할 수 있도록 활성화하는 노력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Community of Practice 운영

CoP는 공통된 관심과 이슈를 가진 구성원들과 지식을 교류하고 융합함으로써 개인과 회사의 역량을 향상시키는 실행 공동체 입니다. 2024년에는 스마트빌딩 IT 솔루션 연구, 공동주택 PM 연구, 건축구조 CoP 등 총 10개 팀이 활발하게 활동하였습니다. CoP 팀들의 성과를 공유하고 최고의 CoP를 선정하기 위해 성과 발표회를 개최하였으며, 우수 CoP는 별도의 온라인 강의 콘텐츠로 제작되어 전사적으로 공유되었습니다.

Q&A 게시판 운영

Q&A 게시판을 활용하여 업무를 진행하며 궁금한 사항을 질의하고 등록된 질문에 누구든지 답변과 의견을 주고받을 수 있습니다. 문제해결에 필요한 정보를 찾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절약할 수 있으며 필요할 경우 분야별 전문가에게 질의하여 답변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오랜 경험을 가진 전문가의 노하우를 구성원들과 공유하며 지식의 축적 – 공유 - 활용의 선순환을 통해 구성원의 지식역량 강화에 기여하고 있습니다.